
- 2025/03/21 캡쳐 -7.28% 손실
- 10,800 원대 물타기 예정
- 2025/02/28 ISA계좌 배당 XX,XXX원 입금, 세금 0원
주식 개요
맥쿼리인프라(정식 명칭: 맥쿼리한국인프라투융자회사, 티커: 088980)는 2002년 12월에 설립되어 2006년 3월 한국거래소에 상장된 국내 최대 규모의 상장 인프라 펀드입니다. 이 펀드는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민간투자법에 따라 도로, 터널, 교량, 도시가스 등 다양한 인프라 자산에 투자하여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https://comp.fnguide.com/SVO2/ASP/SVD_Main.asp?gicode=A088980
https://www.mkif.com/ko/investor-centre/shareprice.html
투자 포트폴리오
맥쿼리인프라는 국내 주요 인프라 자산에 투자하고 있으며, 주요 투자 자산은 다음과 같습니다:
- 도로 및 교량
https://easytoread.tistory.com/entry/%EB%A7%A5%EC%BF%BC%EB%A6%AC%EC%9D%B8%ED%94%84%EB%9D%BC-%EB%8B%A8%EC%A0%90-%EC%A3%BC%EC%8B%9D-%ED%88%AC%EC%9E%90-%EA%B0%80%EC%B9%98-%EC%B2%B4%ED%81%AC- 인천국제공항 고속도로
- 천안-논산 고속도로
- 용인-서울 고속도로
- 인천대교
- 우면산터널
- 백양터널
- 광주제2순환도로 1구간 및 3-1구간
- 서울-춘천 고속도로
- 마창대교
- 도시가스
- 해양에너지 주식회사
- 서라벌도시가스 주식회사
- 씨엔씨티에너지 주식회사
- 기타
https://easytoread.tistory.com/entry/%EB%A7%A5%EC%BF%BC%EB%A6%AC%EC%9D%B8%ED%94%84%EB%9D%BC-%EB%8B%A8%EC%A0%90-%EC%A3%BC%EC%8B%9D-%ED%88%AC%EC%9E%90-%EA%B0%80%EC%B9%98-%EC%B2%B4%ED%81%AC- 동북선 도시철도
- 부산항 신항 2-3단계
- 부산항신항 제2배후도로
- 하남 데이터센터
이러한 자산들은 장기 계약 형태로 운영되어 수익의 안정성이 높습니다.
https://kbthink.com/collect-view/securities-view.html?docId=20240228075527837K
배당 및 수익률
맥쿼리인프라는 투자자들에게 안정적인 배당 수익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024년 2월 기준, KB증권은 맥쿼리인프라에 대해 ‘매수’ 의견과 함께 목표주가를 15,000원으로 제시하였으며, 현재 주가 수준에서 약 6% 중반대의 배당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다고 평가하였습니다.

투자 시 유의사항
맥쿼리인프라는 안정적인 배당주로 인기가 높지만, 투자 시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 재정지원 및 협약기간 종료: 일부 투자 자산의 재정지원 적용기간과 실시협약기간이 종료되면 수익성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백양터널의 재정지원 적용기간과 실시협약기간은 2025년에 종료될 예정입니다.
- 신규 투자 발굴의 어려움: 수익성이 높은 신규 인프라 사업 발굴이 점점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 낮은 주가 변동성: 주가 변동성이 낮아 시세 차익을 노리는 투자자에게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참고
주가에 영향을 받는 요소
맥쿼리인프라(Macquarie Korea Infrastructure Fund, MKIF)는 안정적인 인프라 자산에 투자하여 배당수익을 추구하는 펀드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기업과는 다른 방식으로 주가에 영향을 받는 요소들이 존재합니다. 주요 요소들을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금리 수준 (Interest Rates)
- 가장 큰 영향 요인 중 하나입니다.
- 맥쿼리인프라는 채권형 성격이 강한 종목입니다.
- 금리가 상승하면: 대체투자(예: 채권)의 수익률이 높아져, 상대적으로 매력이 떨어짐 → 주가 하락 압력
- 금리가 하락하면: 배당 매력이 높아져, 주가 상승 요인이 됩니다.
- 특히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방향성이 매우 중요합니다.
운용 자산의 실적 및 수익 안정성
- 고속도로, 터널, 도시가스 등 인프라 자산에서 발생하는 현금 흐름이 꾸준해야 합니다.
- 해당 자산의 통행량 감소, 정부 보조금 축소, 운영비 증가 등은 수익성에 타격을 줍니다.
- 특히, 실시협약 종료나 재정지원 종료가 예정된 자산(예: 백양터널 2025년 종료)은 리스크 요인입니다.
배당 정책과 배당수익률 (Dividend Yield)
- 투자자 대부분이 꾸준한 배당을 보고 투자하므로,
- 배당 감소 우려가 생기면 즉시 주가에 부정적 영향
- 배당 유지 혹은 증가 발표 시 주가 상승 요인이 됩니다.
정부 정책 및 규제
- 도로 및 도시가스 같은 공공 인프라 사업은 정부 정책에 민감합니다.
- 민자사업(MSOC)의 수익률 보장 정책 변화
- 요금 인상 제한, 운영 계약 변경 등은 수익성에 영향
- 예를 들어 통행료 동결이나 도시가스 요금 규제는 직접적인 수익 감소 요인입니다.
환율과 해외자금 흐름
- 외국인 투자 비중이 높은 종목입니다.
- 원/달러 환율 상승 시 외국인 매도 유발 가능
- 반대로 환차익 기대로 외국인 유입 시 주가 상승 가능성도 있습니다.
신규 투자 기회 여부
- 기존 자산에서 나오는 수익 외에 신규 인프라 사업에 대한 투자가 없다면 성장 정체 우려가 커집니다.
- 반대로 새로운 수익성 높은 인프라 투자 발표는 주가 상승 기대 요인입니다.
요약
영향 요소 | 주가에 미치는 방향 | 설명 |
---|---|---|
금리 변화 | 금리 ↑ → 주가 ↓ | 배당주 특성상 금리와 역관계 |
자산 수익성 변화 | 수익 ↓ → 주가 ↓ | 통행량, 요금, 재정지원 등 영향 |
배당 유지/변경 | 배당 ↑ → 주가 ↑ | 주요 투자자 관심 포인트 |
정부 정책 | 규제 강화 → ↓ | 민자사업 수익성에 영향 |
외국인 수급 | 환율/글로벌 자금 | 자금 유입 시 주가 ↑ 가능 |
신규 사업 확보 | 신규투자 ↑ → 주가 ↑ | 성장 기대감 반영 |
필요하시면 최근 배당 실적이나 자산별 수익 기여도에 대한 정리
맥쿼리인프라(Macquarie Korea Infrastructure Fund, MKIF)의 최근 배당 실적과 자산별 수익 기여
최근 배당 실적
MKIF는 안정적인 배당 정책을 유지하며 투자자들에게 꾸준한 수익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최근 배당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2024년 하반기 배당: 주당 380원
https://comp.fnguide.com/SVO2/ASP/SVD_Main.asp?MenuYn=Y&NewMenuID=Y&ReportGB=D&cID=&gicode=A088980&pGB=1&stkGb=754- 배당 기준일: 2024년 12월 31일
- 배당 지급일: 2025년 2월 28일
- 연간 배당금: 760원 (상반기 380원 + 하반기 380원)
https://blog.naver.com/bulnangamja/223671661072 - 배당수익률: 약 6.91% (2024년 12월 31일 종가 기준)
https://comp.wisereport.co.kr/company/c1010001.aspx?cmp_cd=
이러한 배당 실적은 MKIF의 안정적인 수익 구조와 배당 정책을 반영합니다.
https://comp.wisereport.co.kr/company/c1010001.aspx?cmp_cd=088980
자산별 수익 기여도
MKIF의 수익은 주로 투자 자산에서 발생하는 이자수익과 배당수익으로 구성됩니다. 2024년 연간 실적을 기준으로 주요 투자 자산의 수익 기여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유료도로 자산: 13개의 유료도로 투자자산의 가중평균 통행량은 전년 대비 3.3% 증가하였습니다. 특히,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는 2023년 10월 1일부터 통행료를 인하하였으나, 해당 투자법인의 매출 감소분은 주무관청이 지정한 기관으로부터 전액 보전받고 있습니다.
- 도시가스 사업: 해양에너지㈜, 서라벌도시가스㈜, 씨엔씨티에너지㈜ 등 도시가스 사업을 영위하는 3개 투자법인의 실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 해양에너지㈜: 판매량은 전년 대비 2.7% 증가한 778백만 m³, 매출액은 0.4% 감소한 7,220억 원, EBITDA는 11.0% 증가한 567억 원을 기록하였습니다.
- 서라벌도시가스㈜: 판매량은 0.5% 증가한 201백만 m³, 매출액은 4.3% 감소한 1,897억 원, EBITDA는 2.1% 증가한 143억 원을 기록하였습니다.
- 씨엔씨티에너지㈜: 판매량은 0.8% 감소한 657백만 m³, 매출액은 2.2% 감소한 6,551억 원, EBITDA는 14.1% 감소한 360억 원을 기록하였습니다. 다만, 2023년의 일회성 수익을 제외하면, 2024년 EBITDA는 전년 대비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항만 사업: 부산항 신항 2-3단계의 운영사인 ㈜비엔씨티의 실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총 처리 물동량은 전년 대비 1.6% 감소한 2.68백만 TEU
- 매출액은 4.4% 감소한 1,526억 원
- EBITDA는 13.0% 감소한 669억 원을 기록하였으며, 이는 경기 둔화, 국내외 타 부두와의 경쟁 심화, 글로벌 지정학적 위험 증대 등이 물동량 및 매출 구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기 때문입니다.
https://money2.daishin.com/PDF/Out/intranet_data/Product/ResearchCenter/Report/2022/05/44091_mac.pdf
이러한 자산별 수익 기여도를 종합하면, MKIF는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는 지속적인 배당 지급의 기반이 되고 있습니다.
댓글